MedPhy Jinsung2009. 8. 26. 10:45
연구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면 알겠지만.
(사실은 요즘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모두 언론 덕분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SCI 논문이라는 것이 있다. 

자기가 연구한 결과를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고.
서면으로 검증을 받고 공표됨으로 학문이 조금씩 발전하도록 하자는 것이.
원래 논문의 목표일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모든 연구의 결과는 SCI 논문이 몇개냐.. 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게 된다. 
또한 SCI 점수가 몇점이냐에 따라 프로젝트의 전체 액수가 달라지기도 하는 것이 현실이다. 

-

개인적으로는 SCI논문도 좋지만, 
한국의 학회에 좋은 논문을 게재하는 것도 참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의 사람들이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도 제시한다면.
후학들이 좀 더 빨리 발전할 수 있는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흔히 노벨상을 많이 거론하게 되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노벨상이 없지만 일본은 많다. 
심지어 2008년 한해에 물리 3, 화학 1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일본에서 나왔다.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겠지만 
일본의 후학들은 선배 연구자들이 이뤄놓은 업적. 논문들을 자신들의 언어로 많이 보게 된다. 
외국의 논문지에 싣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그들은 자신의 말로 쉽게 자신들의 학회지를 잘 운영한다. 
물론 학회에서 번역하는 사람들이 일본어를 영어로 번역해준다고 들었다. 

중요한 것은 영어. SCI가 아닌, 
연구를 하는 목적. 논리. 가능성을 명확하게 서술하는 능력이다. 

이를 나타내는 한 신문기사가 있으니 참조하면 좋겠다.
기사의 논점은. 일본 노벨상 수상자가 영어에 서툴다라는 이야기인데.
심지어 국제학회의 초청도 거절하고, 여권도 없다는 이야기도 적혀있다. 

-

다시 말하지만,
어떤 성과 위주의 연구 활성화 분위기는 
부동산에서 흔히 이야기는 거품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기본이 탄탄한 연구 분위기.
그것은 막연한 어떤 다른 것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국내 학회. 국내 논문의 활성화가 작은 시작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2009년의 목표는.
국내 학회지에 4편의 한글 논문을 싣는 것.
해외 학회지에는 2편이면 족할 것으로 생각되고.
가능할지 안할지는 해봐야 알 듯.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TCOG 출장을 가며.  (0) 2009.09.27
Before PTCOG..  (0) 2009.09.24
Something New...  (0) 2009.08.19
GEANT4..  (0) 2009.08.18
Introduction to Radiation Therapy  (1) 2009.07.29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09. 8. 19. 19:55

현재 벌려 놓은 연구 주제들을 나열해보았더니.
대략 15개가 넘는다.  허걱.

쓸어 담아야한다는 부담감도 있고.
내가 메인이 아니어서 부탁하고 push해야하는 일도 있다.

-

가만히 list를 들여다보면.
과연 나만의 것! 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하는 고민에 빠지게 된다. 

현재까지 논문을 쓴 것을 봐도.
주어지는 일을 마무리해서 정리한 것이라서 어떤 것은 아쉽고, 부끄럽기도 하다. ㅋㅋ

현재로는 감사하게 과제를 하고 있어서 다양한 것들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졌지만.
10~20년 뒤에는 나만의 영역이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는데.
무엇을 선택해야하는지. 
앞으로 어떤 길을 가야하는지 고민이다. 

-

어떤 것을 선택해서 하는 것이.
내가 가장 즐겁고, 감사하면서 잘 할 수 있을까! 

-

답을 찾으면.
다시 글을 적어야겠다.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fore PTCOG..  (0) 2009.09.24
한글논문 vs 외국논문  (2) 2009.08.26
GEANT4..  (0) 2009.08.18
Introduction to Radiation Therapy  (1) 2009.07.29
국립암센터, 양성자 치료센터.  (0) 2009.07.27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09. 8. 18. 19:25

어제는 신정욱 선생님을 초청하여 Geant4에 대한 강의를 듣게 된 날.
국림암센터 옆자리에서 열심히 하시던 결과가 이제 조금 빛을 발하게 되는 것 같아 참 좋다.

삼성도 이제 곧 Geant4를 setup해야할 듯.

좋은 정보를 주신 신정욱 쌤께 감사드리며.
잊지 말아야할 링크를 기록한다. :)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논문 vs 외국논문  (2) 2009.08.26
Something New...  (0) 2009.08.19
Introduction to Radiation Therapy  (1) 2009.07.29
국립암센터, 양성자 치료센터.  (0) 2009.07.27
나는 왜 이 길에? ^^.!!!  (0) 2009.07.27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09. 7. 29. 11:52
2009년. 7월.
서브인턴에게 강의할 자료.

방사선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에게.
기술의 발전이 급격히 이뤄지고 있는 분야를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

수식. 이런 것을 빼고.
동영상 및 사진들을 잔뜩 구해서 만든 자료.
인터넷은 정말 편하고. 좋은 도구다. ㅋㅋ
아울러 mac 도 정말 편하다. :)

사용한 동영상들에 대해서는.
대부분 출처를 밝혔고.
사용하기 위해서 신청도 해두었으니.
다음에는 더 좋을 자료가 될 수 있을 듯.

하나하나 보려면.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지만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단계씩 진행하도록 해주는 keynote에게도 감사.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mething New...  (0) 2009.08.19
GEANT4..  (0) 2009.08.18
국립암센터, 양성자 치료센터.  (0) 2009.07.27
나는 왜 이 길에? ^^.!!!  (0) 2009.07.27
Proton Patient Field Calibration  (0) 2009.07.27
Posted by jinsung
MP OpenSource2009. 7. 27. 18:32


-

Eric J. Hall의 'Radiobiology for the Radiologist' 6th edition 의 Chap 22 에 나오는 수식.
아마 방사선종양학과 의사들이라면 계산기, 혹은 excel로 만들어서 계산할 것이다. 
흔히.. BED (삐이디) 라는 것이지.

정말 간단한 프로그램.
자바로 만들고 싶은데. 자바를 모른다.. -_-;;;
웹에서 돌아가면 좋을텐데. 


BED를 우선 구하고.
원하는 Fraction size, N of fraction을 결정하면.
나머지 하나가 결정되는 프로그램. 심플 그자체!

-

일단 Matlab으로 완성.
컴파일도 하긴 했는데. 
우리과 사람들에게 배포할 것 생각하니 조금 답답하다. ㅎㅎ 
MCR installer를 깔아야하는데.
이게 사실 좀 Heavy한 프로그램이라.. ㅋㅋ

이럴 땐 C 나 Java를 잘 배워둘 걸 그랬나.. 라는 생각이 든다. :)

-

'MP OpenSour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king Tomotherapy DVH excel file using MATLAB  (2) 2010.01.19
RIT to FilmQA  (1) 2010.01.06
BED Program 광고 포스터..  (0) 2009.09.16
DVH Analyzer v1.0  (6) 2009.08.31
BED Program in iPhone.  (0) 2009.08.27
Posted by jin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