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408건

  1. 2013.04.03 SABR with Particle Therapy
  2. 2013.03.22 ESTRO Dose Modeling 교육 - 추천! :) 1
  3. 2013.03.05 Elekta Versa HD 1
  4. 2013.02.20 꿈의 암치료기.
  5. 2013.02.14 블로그.. 통계
  6. 2013.02.04 [구인] 삼성서울병원 박사후 연구원 초빙
  7. 2013.02.03 2013년 2월
  8. 2013.01.08 Motivation.
  9. 2012.12.03 Evolution of Radiation Technique 1
  10. 2012.11.28 NEJM 200주년 기념 아티클!
MedPhy Jinsung2013. 4. 3. 14:04


2013년 3월 29일. 

대한방사선수술학회에서 불러주셔서 발표한 내용.


같은 세션에 Iris Gibbs, Lei Xing, 김미숙 선생님이 발표하셔서 쫄았던 기억이 난다.

좋은 기회를 주신 이동준 박사님, 서태석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림! 


SABR - Stereotactic ABlative Radiotherapy 가 요즘 대세인데.

그것을 Proton이나 Carbon같은 particle로는 현재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걸 주의해야하는지.

20분안에 마무리하느라.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 하지 못한 기억이 난다. 


발표는 즐겁게 잘 했고, 발표한 자료를 몇개의 슬라이드를 제외하고 힘겹게 다시 올림. 

PDF 변환이 되지 않아. (몇장 이미지가 slideshare에서 깨짐)
JPG로 만들어서 PPT로 삽입후. 변환. 성공!

완벽하지는 않지만.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신 듯 하여!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icle Symposium @AAPM2013  (2) 2013.08.06
간만에 글 적어보기. 일본?  (4) 2013.07.10
ESTRO Dose Modeling 교육 - 추천! :)  (1) 2013.03.22
블로그.. 통계  (0) 2013.02.14
2013년 2월  (0) 2013.02.03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3. 22. 07:01

ESTRO Teaching Course에 다녀왔다.

Dose Modeling and Verification for External Beam Radiotherapy.


흔히 방사선치료에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컴퓨터를 통해서 방사선량이 어떻게 환자에게 분포되는지를 가상으로 simulation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방사선의 분포를 modeling을 해서 simulation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어떤 다른 종류가 있는지, 
또 그렇게 modeling한 것을 어떻게 맞는지 점검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교육하는 것이다. 

최근 양성자를 우리 병원에 도입하면서
RayStation이라는 TPS (Treatment Planning System)를 구입하게 되었고. 
Dose modeling과 verification 을 해야하기 때문에 참석하고 배우게 되었다. 

총 5일에 걸쳐 나름 빡빡하게 진행된 교육.
강사는 돌아보니 7명이었는데, 굉장히 유익했던 교육이었다고 생각한다. 
현재까지 총 15회정도 개최가 되었고, 주로 대상은 physicist며 1300명 정도가 들었다고 한다.
아침 9시부터 저녁 5시정도까지 진행했고, 나름대로 잘 꾸며져 있어서. 하나도 빼놓지 않고 들었다.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다양한 사고도 리뷰하고.
Pencil Beam Kernel, Point Kernel, Grid based Approach까지 책에는 없는 내용들을 배웠다.
실습을 통해 좀 더 실제적으로 Dose modeling을 접근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물론 시간이 짧아서 다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 
다 좋았지만, 특히 좋았던 것은 모두 끝나고 참석했던 모든 사람들이 번호를 누를 수 있는 리모콘을 들고.
객관식 문제를 풀면서 teaching course를 마무리했던 것. 
60명이 넘는 사람들이 누른 답의 분포도 보고, 부가적인 설명도 듣는 재미난 시간으로 기억된다. 


마지막 문제풀이가 끝나고 단체사진을 찍고.
피렌체를 떠나기 전 우피치 미술관에 가서 르네상스 시대의 작품들을 보았는데.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보티첼리의 작품들이 예전과 다르게 마음에 깊이 남았다. 
괜히 거장들이라고 그러는 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
이번 우피치 미술관에서는 미술관을 대표하는 '비너스의 탄생', '봄'이 계속 마음에 남았다.
화가의 상상력. 터치. 표현. 그것을 보는 사람들의 상상력.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생각마저 드는 그런 시간이었다. 


장소는 피렌체였는데 공부를 위해서인지 5일동안 4일은 매일 비가 왔다. 하하. 
비가 오는 피렌체. 상상해보셨나 모르겠지만, 나름 우울한 색깔의 피렌체도 괜찮았다. 
비가 그친 저녁에 잠시 피렌체 골목도 걷고. 야경도 보러 미켈란젤로 광장에도 올라가서 시간을 보냈다.
아래는 내가 찍은 사진 한장. :)


다음에는 어디서 열릴지 모르지만.

의학물리를 하는 사람이면 한번 들으면 좋을만한 기본 교육코스임에 틀림없다. 

강추!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만에 글 적어보기. 일본?  (4) 2013.07.10
SABR with Particle Therapy  (0) 2013.04.03
블로그.. 통계  (0) 2013.02.14
2013년 2월  (0) 2013.02.03
Motivation.  (0) 2013.01.08
Posted by jinsung
MP OpenSource2013. 3. 5. 09:33


최근 Elekta에서 새로운 방사선 치료기를 내놓았다.

Versa HD라고 이름을 붙이고 대대적인 광고를 통해 몇일전 opening show를 하기도 했는데.

자세한 소개는 http://www.versahd.com 홈페이지에 가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방사선 치료기 중 선형가속기는 Varian과 Elekta 두 회사가 양분하고 있다고 보면된다. 예전에 Siemens가 있었으나 현재는 그 사업을 완전히 접었기 때문이다. 물론 선형가속기 Type말고 토모치료기, 사이버나이프, 감마나이프, 베로 등의 방사선치료기들이 있지만 이것들은 약간 특별한 목적이 있다고 해야할까.. 


간단히 VersaHD의 장점을 적어본다면.

- 5mm MLC로 40x40 cm의 field size, high speed for SABR

- High dose rate without flattening filter

- 50x26cm CBCT FOV


암튼 그동안 전세계적으로 보면 Varian이 시장을 많이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번 Elekta의 VersaHD의 발표로 경쟁이 좀 더 가속도가 붙기를 바래본다. :)

Posted by jinsung
MP OpenSource2013. 2. 20. 07:32

새벽. 이유를 알 수 없는 꿈(?)으로 일찍 깼다.

폰을 보니 배터리가 사라져가길래 다른 방에 있는 노트북을 가지고 와서 아이폰을 충전하고.

유럽 축구가 어떻게 되나 인터넷을 확인하다가.

포탈 메인 화면에 보이는 '꿈의 암치료기..' 

설마 해서 클릭해서 보니. http://www.ytn.co.kr/_ln/0105_201302200021164040 

예상했던 중입자치료기이다! :) 


어떤 이유에선지 YTN기자, 연세대 병원장 등이 함께 독일 HIT를 방문하셨나보다. (아는 관계자가 몇명 같이 갔으리라 보는데 나중에 확인해봐야겠다! ^^) 개인적으로는 2009년에 PTCOG를 하면서 방문했던 곳이고, 거대한 carbon gantry에 놀랐던 경험이 있었다. 그 Gantry로 환자를 치료시작한 것이 얼마전이라고 들었었는데 이렇게 우리나라 뉴스에서 확인해주니 반가울 따름! :)




독일 HIT는 proton, carbon 치료가 모두 가능한 기관이다. 그리고 유일하게 Gantry로 carbon을 치료할 수 있는 곳이다. Gantry무게가 670톤이 되기 때문에 원래 설치하려는 회사에서 만들지 않고, 우주산업을 하는 회사에 위탁해서 정밀도를 갖춘 회전식 치료실을 만든 것으로 알고 있다! :) Gantry가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은 저기 위의 YTN 동영상을 보시길!

(위의 슬라이드는 내가 PTCOG48을 다녀온 뒤에 발표한 슬라이드 중 한장)


현재 전 세계적으로 6개의 중입자치료기가 치료중(일본 NIRS, HIBMC, GHMC, 독일 HIT, 중국 IMP-CAS, 이탈리아 CNAO : 참고 - PTCOG website )이다. 이렇게 치료기가 적은 이유는 워낙 장비의 설치비, 운영비가 비싸기 때문이다. 요즘은 장비사에서 가격을 얼마를 요구하는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 


YTN 뉴스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주도로 부산 기장 동남권원자력의학원에 1대, 제주도에 민간업체가 1대 그리고 연세대가 추가로 고려중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인구에 비해 다소 많은 감이 없지는 않지만, 치료비가 비싸지 않는다면 이러한 치료기의 도입은 나쁘지 않다고 본다. 개인적으로는! :) 


그런데 '꿈의 암치료기'라는 단어는 좀 식상하기도 하고. 너무 많은 치료기에 사용하는 면도 있고, 사실 그렇게 완벽한 '꿈'의 결과는 아닌데 좀 다른 단어없을까..? ^^.


추가. (20120222)

요즘 YTN의 심재훈 기자? 이방면에 아주 열심을 가지고 계신 듯! 

또 하나의 뉴스! :)

http://www.ytn.co.kr/_ln/0105_201302220308299734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2. 14. 07:44

3년 정도 된 듯 하다. 

오늘 갑자기 정리해보고픈 생각이 들어서 방문자수를 그래프로 그려보았다.


생각보다는 이제 방문자수가 한달 평균 1800건. 하루 평균 60명정도가 되는 듯 하다.

어떻게 들어오는지 신기할 뿐! :)


그래프를 그려보니 재미난 포인트 하나.

3년동안 3월에 갑자기 방문자수가 증가한다!!!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봤더니, 신입생들이 입학하고 검색을 통해서 무언가 알아가는 것이 아닌가..

물론 2011년에는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있어서 더 큰 몫을 했다고 생각이 된다. :)


음. 올해는 목표는 일주일에 글 하나는 올리는 목표로! 

으라차차차!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BR with Particle Therapy  (0) 2013.04.03
ESTRO Dose Modeling 교육 - 추천! :)  (1) 2013.03.22
2013년 2월  (0) 2013.02.03
Motivation.  (0) 2013.01.08
Evolution of Radiation Technique  (1) 2012.12.03
Posted by jinsung
MP OpenSource2013. 2. 4. 14:15

삼성서울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초빙합니다.


 본 연구는 삼성서울병원에 도입되는 양성자 치료기에 접목시킬 영상유도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본과의 연구원 및 의학물리사 들과 함께 연구에 참여하실 의욕있는 박사후 연구원을 초빙합니다, 본 연구는 1단계로 3년간 진행 할 예정이며
연구외에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에 방사선 종양학과의 의학물리사로서의 교육및 임상수련의 기회 제공도 가능합니다.

연구관련 기술 및 기타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의료영상분석 및 video processing, video tracking, motion estimation, image registration 관련연구 분야 전공

2. 자격요건: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3. 제출서류
   - 이력서 (자유형식)
  -  자기소개서 ( 연구경력위주)
  -  관련분야 publication 사본

4. 제출 기한 : 2월 25일

5. 제출 방법 : 전자 우편 접수 ( youngyih@skku.edu)

6. 처우: 경력에 따라 협의 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지원을 바랍니다,

'MP OpenSour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ekta Versa HD  (1) 2013.03.05
꿈의 암치료기.  (0) 2013.02.20
NEJM 200주년 기념 아티클!  (0) 2012.11.28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연구원 모집  (0) 2012.10.09
한국의학물리학회 홈페이지.  (3) 2012.09.17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2. 3. 05:26

1. 두번의 짧지 않은 해외출장교육이 끝이 나면서 이제 한국에서 해야할 일들을 정리해본다. 

사실 더 정확히 말하면 해야할 일들을 정리한다기보다는 안해도 되는 일들을 정리하는 것이 필요해보인다. 너무 많은 것을 하려다가. 이것저것도 안되는 상황이 될 수 있으니 말이다. 


2. 일본 SHI 공장에서의 교육과 MDACC에서의 시간은 나중에 돌이켜보아도 정말 잊을 수 없는 시간이 되리라고 장담할 수 있다. 긴 시간 자리를 비우게 해준 병원과 동료분들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3. 목표는 2월 내에 앞으로 해야할 일들을 정리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 그리고 3월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기를.


4. 휴스턴에서 찍은 사진하나. 

   해가 질 무렵. 맑은 하늘에 하나의 자국.

   내 삶에도 여러 흔적들이 남을텐데, 한번 정리하고 다시 가자!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TRO Dose Modeling 교육 - 추천! :)  (1) 2013.03.22
블로그.. 통계  (0) 2013.02.14
Motivation.  (0) 2013.01.08
Evolution of Radiation Technique  (1) 2012.12.03
Patient Statistics & Number of Particle Therapy Center in the world!  (0) 2012.11.17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1. 8. 12:13

일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일을 하게 되는 이유이다.


이유가 확고하면.

힘들고. 반대들이 있어도 그 길을 갈 수 있다.

이유가 흔들리거나. 사라지면.

힘들고. 반대가 있을 때. 포기한다.


나의 Motivation이 무엇인가.

작은 Motivation이 하나 사라졌다.


다시 시작해보자.

방향도 점검하면서.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통계  (0) 2013.02.14
2013년 2월  (0) 2013.02.03
Evolution of Radiation Technique  (1) 2012.12.03
Patient Statistics & Number of Particle Therapy Center in the world!  (0) 2012.11.17
갑자기 검색해본 특허  (0) 2012.11.17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2. 12. 3. 15:33

지난 주 대한방사선수술물리학회에서 발표했던 자료.

슬라이드로 만들어보았는데 어떤지 모르겠군요.


동영상이 많아서 슬라이드로 만든 것이 조금 아쉽지만.

향후에 기회가 있으면 동영상을 만들어서 올려보도록 하죠.


더 궁금하신 분들은.

연락주세요! :)


그리고 자료를 사용하실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2월  (0) 2013.02.03
Motivation.  (0) 2013.01.08
Patient Statistics & Number of Particle Therapy Center in the world!  (0) 2012.11.17
갑자기 검색해본 특허  (0) 2012.11.17
TOPAS를 아시나요?  (1) 2012.10.22
Posted by jinsung
MP OpenSource2012. 11. 28. 22:44

세계의 많은 논문중에.

가장 높은 impact factor를 자랑하는 저널이 바로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 NEJM이다.


올해가 저널 발행 200년이 된다고 해서.

여러 기념 아티클들이 게재가 되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지난 200여년의 암관련 연구에 대해 적은 리뷰논문.

http://www.nejm.org/doi/full/10.1056/NEJMra1204479

에 가시면 무료로 보실 수가 있을 것임! :) 




또한 논문에서는 지난 시간동안.

Chemo. Surgery, Radiation Therapy에 있어서 기념이 될만한 역사적인 사건(?)들을

아래와 같이 시간순으로 배열해두었다. 



그 중 방사선치료에 관한 것만 내가 따로 빼어서 아래와 같이 정리했고.

중간에 노란색은 내가 추가로 선정하고 싶어서 적은 내용들.

왜 이런 일들을 했냐고 물으신다면.. 


궁금해요? 궁금하면 방사선수술물리학회로! :) 

http://www.ksmp.or.kr/event/view.html?code=&num=53




그나저나.

이런 역사를 보면서 항상 느끼는 것은.

저 역사적인 사건들을 만들어낸 사람들은.

정말.. 천재가 아닌가 싶다... 





Posted by jin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