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Phy Jinsung2014. 3. 19. 12:27

2001년이었던가. 미국에서 matlab을 처음 접하던 때가 기억난다.

처음 접하고, 1년동안 무언가를 만들어내야해서, 정말 하루종일 matlab과 놀았다.

그렇게 익숙해진 matlab.


지금도 가끔 matlab으로 무언가 만들면 기분이 좋다.


양성자치료를 하는 기술중에 pencil beam scanning 이라고 불리는 기법이 있다. 

조그만 사이즈의 양성자빔을 X-Y-Z 로 스캔하면서 방사선량을 전달하는 방법이다.

그런 치료를 할 때 각 양성자빔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양성자치료기에서 미리 계획한 위치에 실제로 양성자빔이 전달이 되는지 확인하는 것.

그것이 기본이 되어야 믿고 정확한 치료를 할 수 있게 되겠다.


그래서 만들어본 프로그램.

IBA회사의 치료기의 input이 되는 PLD 파일과 실제 2차원 검출기(Lynx)로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는 프로그램.

만들었더니, IBA의 한 매니저가 share하자고 해서 그렇게 할 예정이다.


암튼. 모처럼만에 만들어보는 matlab. 

언제나 2001년 그 때가 생각난다.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ton Dose Algorithm - 1탄  (0) 2014.05.27
Proton Dose Calculation at AAPM on Vimeo!  (0) 2014.04.03
CT Dose - CT의 선량에 대한 중요한 자료!  (0) 2014.02.15
2014년 Proton News - 02  (0) 2014.01.28
Proton @ Samsung Medical Center  (2) 2014.01.15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4. 2. 15. 23:44

미국의 의학물리학회는 AAPM이라는 단체로,

나와 유사한 일을 하는 Medical Physicist들의 모임이다. 


이번에 Computed Tomography Radiation Dose Education을 개최했었고, 

관련된 자료를 모두 홈페이지에 올려두었다. 


이런 일이 생긴건.

뭐 CT 영상으로 받는 선량이 많다. 라는 Eric Hall 아저씨의 논문이 시초가 되었고!!! NEJM Review 논문!! 


일본 원전사건 이후로 일반인이 가진 막연한 두려움 등.. 의 이유가 있을 것이라 본다.

어찌되었든. 이번에 AAPM에서 한 교육은 굉장히 중요한 일이다!! 


왜냐!!! 

아래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는데..




CT를 만드는 회사(GE, Philips, Toshiba 등) 에서 각자의 발표를 진행한 것이다. 

사용하는 Term과 concept를 일치시키고, 

서로 잘 비교가 될 수 있게 한 것처럼 보이는데!!!

리뷰를 하고 싶은데.

언제 시간이 생길지.. 의문이다. ㅠ.ㅠ



...


언제.. 할 수 있을런지.. ㅎㅎ


--


ps. 참고로 관련해서 찾다가 우연히 발견한 NEJM의 한국사람들 논문! 

이것도 나중에 또 리뷰해봐야겠다!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ton Dose Calculation at AAPM on Vimeo!  (0) 2014.04.03
Matlab 프로그램 - Lynx vs PLD  (2) 2014.03.19
2014년 Proton News - 02  (0) 2014.01.28
Proton @ Samsung Medical Center  (2) 2014.01.15
PSI Gantry 2  (0) 2014.01.02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4. 1. 28. 08:29

SCCA proton therapy centre treats 100 cancer patients - http://goo.gl/k3pxSX
미국 시애틀에 있는 SCCA (Seattle Cancer Care Alliance)에서는 2013년 봄에 환자치료를 시작해서 2014년 1월까지 100명의 환자를 치료했다고 보고했다. 최대 연간 1200명까지 치료할 수 있는 규모를 가진 SCCA는 현재 20%정도가 소아환자라고 밝혔으며 현재 Procure Treatment Center와 협력하여 환자치료를 하고 있다. 






Provision treats first proton therapy patients in Tennessee - http://goo.gl/LLVVwF
미국 테네시주의 knoville에 있는 Provision center for proton therapy에서는 최근 3명의 prostate 환자를 치료를 시작했음을 알렸다. 이로 인해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주 의 환자들이 멀리 가지 않고 양성자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2012년 4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2013년 1월 설치를 시작한 Provision center는 연간 최대 900명의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3개의 치료실을 가지고 있으며 주변의 Smoky Mountains National Park 등의 관광명소를 통해 환자에게 평안한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lab 프로그램 - Lynx vs PLD  (2) 2014.03.19
CT Dose - CT의 선량에 대한 중요한 자료!  (0) 2014.02.15
Proton @ Samsung Medical Center  (2) 2014.01.15
PSI Gantry 2  (0) 2014.01.02
MEVION! 치료를 시작하다.  (2) 2013.12.25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4. 1. 15. 08:30

2009년 3월.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로 출근했다.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에서 아쉬움과 죄송함을 남기고 새로운 꿈을 가지고.


외환위기로 잠시 중단되었다가.

2011년 4월 Sumitomo Heavy Industry와 계약을 하고, 9월 공사를 시작하여 

2014년 1월 아래와 같은 건물이 완성되어가고 있다.



방사선 발생장치의 인허가를 위한 서류작업을 1.5년 진행하고 2013년 4월 최종 허가를 취득하고

2013년 6월부터 양성자치료기를 건물 내에 설치시작하여 대부분의 설치를 마무리 중이다. 



2014년 1월. 

양성자를 BeamON을 코 앞에 두고 있다.

아침에 다녀온 상황으로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오늘 아마 Ion Source를 넣고 하나의 작은 역사적인 순간!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2014년 1월 15일 오후.

아직 turning이 되지 않은.

정말 있는 그대로의 싱싱한 proton이 필름에 찍혔다.



긴 시간이었고.

또 다른 시작의 한 점을 찍는 시간이다.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T Dose - CT의 선량에 대한 중요한 자료!  (0) 2014.02.15
2014년 Proton News - 02  (0) 2014.01.28
PSI Gantry 2  (0) 2014.01.02
MEVION! 치료를 시작하다.  (2) 2013.12.25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Ph.D 초빙!  (0) 2013.12.04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4. 1. 2. 09:49

아침에 접한 몇가지 뉴스 중 하나를 정리해본다. 


PSI's Gantry 2 begins clinical operation

http://medicalphysicsweb.org/cws/article/research/55728



양성자치료를 하는 사람이다면, 스위스의 PSI라는 기관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PSI라는 곳에서 그동안 오랫동안 준비해온 두번째 Gantry에서 치료를 시작했다는 소식이다. 


간단히 위의 링크의 내용들을 국문으로 정리해보면, 

G1을 운영하면서 획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 만든 clinically innovative 치료실이다. G1보다 spot size, penumbra가 굉장히 줄어들었고, beam line이 energy change에 optimize 되어 있어서 100ms 걸린다.(와우!!!)

Gantry가 210도만 회전이 가능하며 나머지는 patient table 회전으로 커버한다. Image guidance를 위해서는 CT-on-rails을 활용할 예정이다. 


공식 홈페이지 
http://p-therapie.web.psi.ch/e/gantry2.html 에 있는 사진인데, 
좀 더 멋진 사진을 다시 찍어주기를 기대해본다! ㅎㅎ 

1st case는 skull base meningioma였고, 3 field, 1.8Gy(RBE) 로 54Gy 치료예정이고, 2013년 11월 25일 치료를 시작했다. Fast spot-scanning 방법으로 치료를 해서 한 field당 20초 이내로 조사를 마쳤으며 전체 치료시간은 30분정도이다. 
첫 환자는 IMPT가 큰 benefit이 없어서 SFUD를 활용해서 치료했다. 그러나 이미 IMPT를 활용할 준비는 모두 되어있다. 

2, 3번째 환자는 1번째 환자가 끝나는 2014년 1월부터 치료를 시작한다. 처음에는 Gantry 1번에서 치료하는 indication과 유사하게 하겠지만, 소아환자들을 곧 치료하기 시작할 것이다. 
Tracking mobile tumors는 좀 더 많은 commissioning work이 필요하겠지만, 우리는 2015년 초에 moving tumor 첫 환자를 치료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현재 Gantry 3을 건설 중이며 Gantry 2와 비슷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한다.  




2009년에 PSI를 방문해봤는데,
2015년쯤.. 한번 더 방문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Proton News - 02  (0) 2014.01.28
Proton @ Samsung Medical Center  (2) 2014.01.15
MEVION! 치료를 시작하다.  (2) 2013.12.25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Ph.D 초빙!  (0) 2013.12.04
Particle Therapy Center Updates  (0) 2013.11.22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12. 25. 06:44

2015년에 치료하기전에 주기적으로 과내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주 금요일(12월 20일) 과에서 내가 발표를 하게 되었는데 내용은 양성자치료 강의.


강의 주제 중에 하나는 중성자관련 내용이었는데, 

강의 당일 20일에 갑자기 MEVION이 생각이 나서 검색을 해봤더니 

미국 12월 19일(한국으로 치면 20일!)에 첫 치료를 St.Louis에 있는 Barnes-Jewish Hospital에서 시작한다!는 

뉴스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하. 이런 우연의 일치가!!! :) 


그래서 강의할 때 따끈한 뉴스를 전할 수 있었고, 재미도 있었던 것 같다. :)



MEVION이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은 위의 사이트에 들어가보시기 바라며,

간단히 이야기하면 이전보다 많이 소형화(직경 1.8m, 9.6톤)된 양성자가속기를 제작하고.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Gantry(갠트리)에 장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이른바 '소형 양성자치료기'가 되겠다. 

기존의 양성자치료기가 너무 큰 시설이고 비싸서 나온 일종의 대안이라고 할까.



가속기가 갠트리에 달려 있고, 환자치료하는 지점까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이 중성자 선량이 높을 것이라고 지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러한 걱정을 풀어주려고 현재 치료를 시작한 병원에서 관련된 선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고했다.

이건 2013년 PTCOG에서 발표한 자료를 내가 사진찍은 것으로 기억한다. 

다 해결되었다고 말하기에는 부족지만, 일단 측정값을 살펴보시기를! :) 



암튼 MEVION은 원래 회사 이름이 StillLiver - http://www.stillriversystems.com 였다.

그러나 얼마전 이름을 바꾸었는데, 개인적으로는 MEVION이 훨씬 감각이 있는 이름이다.

트랜스포머에 나오는 로봇이름같지 않은가? 하하.


암튼 2009년부터 양성자치료가 가능하다고 했던 이 회사가 2013년 드디어 환자치료를 시작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의심을 했던 것이 사실이고, 이 회사가 어떻게 될지 지켜보는 사람도 많다. 

그 중에 내가 경험했던 재미난 사건 하나를 이야기하려 한다.


2013년 PTCOG 미팅에서 MEVION이 세션을 하나 마련해서 발표를 했다.

그 중에 하나가 Washington University (Barnes-Jewish Hospital)에서 측정한 아래의 사진.

Gantry의 각도에 따라 얼마나 Isocenter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Star-Shot이라고 하는데, 

이 사진을 본 청중 중 한명 (마찬가지로 전문가..)가 질문하기를..

"그거 양성자로 찍은 게 아니라 X-ray로 촬영한 것 같은데 아닌가?" 라는 황당한 질문을 한 것이다! 

청중 중에는 웃음으로 넘기는 사람도 있었고, 다양한 반응이 나왔다. 

물론 발표자는 아니라고 대답을 했지만, MEVION에 대한 사람들의 마음을 조금은 알 수 있는 자리였다.





개인적으로 난 MEVION이 잘 되기를 바란다.

그래야. 모두 잘 되지 않겠는가? :) 


--


추가! 

사실 MEVION이 설치된 이 병원은 내가 예전에 1년동안 머물던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관심있게 다시 좀 찾아봤는데 설명이 잘 되어있는 동영상과 홈페이지가 있어서 추가로 링크한다.

참고하시면 될 듯! :)


http://www.barnesjewish.org/news/?id=5032&sid=2&nid=3068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ton @ Samsung Medical Center  (2) 2014.01.15
PSI Gantry 2  (0) 2014.01.02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Ph.D 초빙!  (0) 2013.12.04
Particle Therapy Center Updates  (0) 2013.11.22
Neutron dose with Proton scanning.  (4) 2013.10.13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12. 4. 08:19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진료교수(Ph.D.) 초빙

모집분야·채용인원

  •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정규직 Ph.D 교수
  • 의학물리학 0명 :  의학물리학, 방사선물리학, 원자력공학, 가속기 물리학 및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 방사선생물학분야 0명 : 방사선생물학, 종양학, 분자생물학, 생명공학 및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자격

공통

  • 박사학위 소지자
  • 남자의 경우 군필자 및 면제자
  • 최근 2년간 연구실적 100% 이상인 자

의학물리학분야

  • 박사학위 취득 후 임상경력 1년 이상 또는 그에 준하는 경력소유자
     

방사선생물학분야

  • 박사 취득 후 3년 이상 박사후 연구경력소유자

연구실적 계산 방법 

  · 원저 (Original Article) 만 인정
  · 1인연구 (100%)
  · 2인연구 : 주저자 (80%), 기타(70%)
  · 3인연구 : 주저자 (70%), 기타(50%)
  · 4인연구 : 주저자 (60%), 기타(30%)
  · 5인이상연구 : 주저자 (50%), 기타(20%)
   ※ 주저자 : 책임저자 또는 제1저자

근무시작일

2014년 2월 1일(예정)

접수기간

2013년 11월 29(금) ~ 2013년 12월 18일(수)

접수방법

우편 또는 방문접수 
※우편접수시 마감일 소인에 한해 접수함

접 수 처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50번지 삼성서울병원 의료기획팀

문 의

의료기획팀 김재훈 책임 (Tel. 02 - 3410 - 6646)

제출서류

1. 지원서(병원양식) ........................................... 1 부
2. 자기소개서/직무계획서(병원양식)..................... 1 부
3. 연구실적목록(병원양식) .................................. 1 부 
    (최근 2년내(접수마감 시점) 논문 실적물 제출)
4. 학위증명서(학사/석사/박사)............................. 2 부(원본)
5. 전학년성적증명서(대학/대학원)........................ 2 부(원본)
6. 경력증명서(박사학위 취득 후 경력).................... 2 부(원본)
7. 주민등록등본................................................. 2 부(원본)
8. 주민등록초본(병역사항 포함)............................ 2 부(원본)
9. 여권용사진 (3.5×4.5) ..................................... 2 매


서류는 삼성서울병원 채용공고를 참고하세요!!!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I Gantry 2  (0) 2014.01.02
MEVION! 치료를 시작하다.  (2) 2013.12.25
Particle Therapy Center Updates  (0) 2013.11.22
Neutron dose with Proton scanning.  (4) 2013.10.13
양성자치료 관련 논문 - 2차암 발생  (4) 2013.08.29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11. 22. 21:01

간만에 업데이트! 

PTCOG! Thank you!! :)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10. 13. 15:02


지난 방사선종양학회에서 발표한 자료.

구연상을 도전하였으나, 평가대상에서 제외되었단 소식을.. 발표하고 나서 들었다.. 흑흑.. 

이유는 잘 모르지만.. 받아들여야지!! ㅎㅎ

그래도 같이 준비한 주상규 박사님이 구연상을 받아서 다행! ㅎㅎ

그리고 정말 열심히 도와주신 신정석 선생님께 죄송! ㅋㅋ


--


어라.


지금 보니 3페이지에 사진이 다 안나오네요.

아직 Mac Keynote -> PDF -> Slideshare 의 조합이 완성되지는 않은듯.

고쳐야하는데. 오늘 여유가 없는 날.


참고하고 보시길!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8. 29. 07:08


어제 읽은 재미난 논문 하나! 


Incidence of Second Malignancies Among Patients Treated With Proton Versus Photon Radiation

http://www.redjournal.org/article/s0360-3016(13)00459-8/abstract





간단히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


일반 방사선치료를 받으면 2차암이 보통 8%정도 발생한다

양성자치료를 받으면 정상조직이 1/2, 1/3로 줄어든다


MGH에서 5400명 치료했는데 (1973-2001)

eye 치료, 외국인(571), meta 등을 제외했더니 1407명 정도였고, 

MGH FU가 없는 383명도 제외 ==> 1034명 : 2007년까지 followup.


1034명을 NCI SEER data (28% US cover)와 match up.

221,000명의 nonmeta x-ray 치료환자 발견, LLUMC 때문에 LA환자는 제외, IRB 통과


1034명중에 1SEER data와 match된 환자는 558명(54%)

33% Prostate, 32% CNS, 8% musculoskelatal, 3% GI, 0.4% Lung, 0.2% Lumphoma, 44 PED

unmatched rare cancer (339 H&N, 291 base of skull, 93 NPX)

모든 환자에 대한 Median FU 6.7 (양성자)  vs 6.0 (X-ray), age 59 yr


-


결과적으로 보니, 2차암의 발생 빈도는 

5.2% (양성자) vs 7.5% (X-ray)였고, unmatched 양성자 환자 중에서는 3.8% 였다. 
이것을 환산하면 6.9 vs 10.3 cancers per 1000 person-year 이다. 

-


여러가지 논문의 제한점이 있지만! (이 제한점은 나중에 다시 정리! ㅋㅋ)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건 그냥 원문 그대로! :)


-


In conclusion, after we adjusted for known prognostic factors, there was a lower incidence of second cancers among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proton radiation compared with patients treated

with photon radiation. Because second cancers can appear many years after the initial radiation therapy, longer follow-up of these patients is needed. Give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reduced

second tumor rate in the proton cohort that we observed should be viewed as hypothesis generating. Nevertheless, these findings are reassuring that the risk of second tumors was at least not increased when using protons compared with photons, but leave open the question as to whether proton radiation therapy decreases rates of second tumors in radiation-treated cohorts


-

좋은 논문이라고 보고.
향후 인용이 많이 되리라 확신한다.

그리고 추측하는 것은.
NEJM, JCO에 제출했을텐데.. 아쉬움이 남기도 한다.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icle Therapy Center Updates  (0) 2013.11.22
Neutron dose with Proton scanning.  (4) 2013.10.13
Particle Symposium @AAPM2013  (2) 2013.08.06
간만에 글 적어보기. 일본?  (4) 2013.07.10
SABR with Particle Therapy  (0) 2013.04.03
Posted by jin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