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Phy Jinsung2013. 8. 6. 14:15

2013년 8월 3일. 

미국 의학물리학자(Medical Physicist)들의 학회인 AAPM이 Indianapolis에서 개최가 되었다. 

그 중에 요즘 가장 hot한 주제인 proton or carbon에 관한 Particle Beam Therapy Symposium에 참석했다.


재미난 중 하나는.

원래 Proton Symposium으로 나왔다가.

최종적으로는 Particle Beam Therapy symposium으로 변경이 된 것이다.

관련해서 학회중에 Proton vs Carbon을 디스커션하는 세션도 있었는데, 참석하지 못해 아쉽지만, 

암튼 proton, particle, carbon (일반인이 보기에는 큰 차이가 없겠지만.. ㅋㅋ)의 경쟁(?).

내겐 이것도 재미난 일 중에 하나로 생각된다. 

궁금하신 분은 http://aapm.org/meetings/2013AM/ProtonSymposium.asp 에서 내용을 확인하시길!



어찌되었든, 이 발표를 들으면서.

가장 좋았던 것은 현재 미국에서 치료하고 있는 병원에서 공통된 슬라이드 타이틀(layout, QA항목, wishlist 등)을

공통적으로 발표해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현황. 방법, 필요한 점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건 따로 정리를 한번 해야하지 않나 싶고. 대략 발표한 병원들만 나열해보면.. 

  • MGH: Hsiao-Ming Lu
  • Loma Linda: Baldev Patyal
  • IUHPTC: Chee-Wai Cheng
  • MD Anderson: Narayan Sahoo 
  • University of Florida: Roelf Slopsema
  • ProCure: Niek Schreuder
  • University of Pennsylvania: James McDonough
  • McLaren: Sungyong Park
  • Washington University: Eric Klein
  • Scripps: Anthony Mascia

각 병원의 내노라 하는 사람들이 발표를 해서. 

나름 재미있고. 도움이 많이 되었다! :)


두번째는 각 벤더들의 발표! 

  1. IBA: Yves Jongen : IBA founder. 아직도 필드에서 일하고 있다!
  2. Varian: Jan Timmer : 참 발표를 잘한다고 느낌.
  3. Hitachi: Masumi Umezawa
  4. Mevion: Lionel Bouchet
  5. ProNova: Joe Matteo
  6. Sumitomo: Yukio Kumata : 모든 cyclotron을 사랑하는 SHI의 사장님. ㅋㅋ

현재 마켓에 있는 모든 회사들이 발표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그 중에 재미난 것 몇장만 간략하게 소개해본다.



IBA 회사의 현재 + 미래 market share. 

여러가지 의견들이 있는 회사지만, 일단 현재까지는 업계 No1 !



Varian에서 자신들의 가속기로 달성한 penumbra size graph! 

대략 120 MeV 이상에서 거의 4mm 로 일정한 것을 확인가능함!! 

가속기 회사. 하나 잘 산 듯! 



이건 Varian에서 자신들의 motion management에 대한 workflow concept를 정리한 그래프.

나중에 우리가 실제로 환자 치료할 때도 응용이 가능할 것 같아서 잘 간직해야할 듯! :)  



현재 미국에서 MDACC의 실적에 힙입어 주가를 한창 올리고 있는 Hitachi의 overview.

St. Jude children hospital, Mayo Clinic에서 주문을 받아 설치중임! 



예전 Stilliver에서 이름을 변경하여 Mevion으로 변경한 회사 (이름.. 참 잘 짓는다..)

자신이 방 하나짜리 양성자를 하기에 가장 적합하다면서 면적을 표시함!



현재까지 미국의 양성자센터 중에서 Mevion이 차지하는 비율. 상당히 많은 것을 확인 가능!

몇 사람들이 아직도 Mevion에 대해서 미심쩍은 눈길을 보내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난 잘 되기를 바란다. 서로 잘 되어야 서로가 산다!! :) 



이번에 새로 마켓에 들어옴 Pronova. Indianapolis에서 시작된 회사로 위의 특징을 가지고 시작한다. 직접 보지 못했지만, 상당한 크기 줄어듬을 장점으로 야심차게 시장에 들어왔다. 결과가 어떯게 될까?



마지막으로 발표한 Sumitomo Heavy Industries. (SHI) 

난 개인적으로 얼른 SHI가 미국 사람을 고용해서 마케팅을 하기를 바란다. 가지고 있는 기술에 비해서 평가가 덜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 암튼 현재 건설중인 우리 병원 사진을 보여주면서 세계 탑 클래스의 병원이라고 이야기해서 순간 내 얼굴이 아무도 모르게 벌겋게 되었다. ㅋㅋ



향후 SHI가 약속으로 건? 20 layer, 1 리터의 볼륨을 6초 안에 해결하는 방법! 

과연 우리에게도 적용이 될것인가.. :) 



마지막 발표는 현재 많은 양성자센터가 건설되고 있는데, 각 경제성과 필요성은 어떠한지 꼼꼼히 따져 보는 talk. 장단점을 알고 피드백이 있어야 좋은 결과를 달성할 수 있지 않나 싶다. 


전체적으로 재미난 발표들이었고, 다른 PTCOG이나 teaching course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시도가 좋았다!


-----


시차가 아직 적응이 안되고,  할 일들이 많은데 집중이 안된다.

이럴 때는 블로그가 짱! 


ps. 이번 AAPM은 앱을 만들어서 iphone에서 일정.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정말 마음에 든다!

     사람들도 찾을 수 있고, 두꺼운 책을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서 정말 최고! :)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7. 10. 00:12

정말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을 적어본다. 

사소한 것들도 부담없이 적어야지. 하는 마음이 있었으나 뭐가 그리 바쁜지 시간이 이렇게 지나버렸다.

5-6월은 서류작업이 참 많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마 내가 Mac을 사용하고나서 가장 PC를 많이 사용한 기간으로 기억된다.
PPT 발표자료. HWP 계획서. 보고서. 엑셀 : 아직까지 이 작업은 윈도우가 편하다. 
중간중간 발표자료를 위해 numbers와 keynote를 사용했네.

발표자료. 계획서. 보고서는 정말 표가 나지 않는 작업이다.
남들이 잘 모르지만 나만. 그리고 몇 사람만 기억하는 그러한 작업들.

암튼 이제 겨우 숨을 좀 돌릴 수 있지 않나 싶다.

지금은 일본으로 가는 비행기안.
양성자가속기를 일본 Sumitomo로 결정한 뒤. 꽤 일본을 방문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 느끼는 것 몇가지.

1. 일본사람은 국제화의 필요성을 못 느끼는 듯.
영어를 생각보다 못하는 것은 많은 사람이 알 것 같은데, 자세히 살펴보면 영어를 잘 하려는 일반적인 문화가 그닥 없다.
인구도 어느정도 꽤 되고. 산업 기술도 발달하여 굳이 미국이나 해외로 자신의 산업 영역을 넓히려고 하지 않는 듯 한 느낌이다.
영토도 꽤 넓어서 우리나라보다 꽤 국내 관광도 많이 하는 편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말 꽤 많은 해외 관광객이 일본을 찾는다. 
가만 있어도. 영어를 잘 하지 않아도 외국사람들이 관광도 하고. 일어도 배워서 사업도 하는 것을 보면. 여러가지 생각이 든다. 
같이 일하는 회사도 영어를 잘하거나, 국제화에 마인드가 더 있으면 더 잘될 회사로 보인다. 

2. 착하다.
간혹 뻥이 쎈 일본사람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착하고. 거짓말이나 과장을 하지 않고.
특히 같이 일하는 엔지니어들은 전문적인 영역에 대해서는 자부심이 있고. 솔직하다.
안되는 건 안된다고 하고. 되는 건 된다고 한다. ㅋㅋ

3. 위축? 차분?
뭐라고 형언할 수는 없지만, 일본 TV의 개그프로를 제외하고.
보통 일상생활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차분한 느낌을 넘어서 조금 어두운 느낌이 날 때가 있다.
무엇때문인지 모르지만, 
엄청 즐거운 일이 생겼을 때 "하하하" 크게 웃기 보다는 '씨이익' 웃고 고맙다는 인사를 하는 느낌이랄까.
암튼 일종의 따스한 위로(?)가 필요한 사회라는 느낌을 받는다.

4. 교통비. 물가
다닐때 깜짝 놀랄 때가 몇번 있는데 교통비가 너무 비싼 경우가 있다. 
기차가 비행기보다 비쌀 때는 다반사인 것 같고. 자전거는 정말 필수일듯. 특히 도쿄에서! 

아는 분의 아버님은 일본을 계획적으로 여행하시면서.
노년에 일본에 관련된 책을 출판하셨다고 한다.
난 지금 거의 정해진 곳만 다니고 있지만. 언젠가 그런 생각도 해보면 좋을 듯 하다.

암튼 이번 일본 출장도. 즐거이. 알차게 보내길 다짐하며.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성자치료 관련 논문 - 2차암 발생  (4) 2013.08.29
Particle Symposium @AAPM2013  (2) 2013.08.06
SABR with Particle Therapy  (0) 2013.04.03
ESTRO Dose Modeling 교육 - 추천! :)  (1) 2013.03.22
블로그.. 통계  (0) 2013.02.14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4. 3. 14:04


2013년 3월 29일. 

대한방사선수술학회에서 불러주셔서 발표한 내용.


같은 세션에 Iris Gibbs, Lei Xing, 김미숙 선생님이 발표하셔서 쫄았던 기억이 난다.

좋은 기회를 주신 이동준 박사님, 서태석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림! 


SABR - Stereotactic ABlative Radiotherapy 가 요즘 대세인데.

그것을 Proton이나 Carbon같은 particle로는 현재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걸 주의해야하는지.

20분안에 마무리하느라.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 하지 못한 기억이 난다. 


발표는 즐겁게 잘 했고, 발표한 자료를 몇개의 슬라이드를 제외하고 힘겹게 다시 올림. 

PDF 변환이 되지 않아. (몇장 이미지가 slideshare에서 깨짐)
JPG로 만들어서 PPT로 삽입후. 변환. 성공!

완벽하지는 않지만.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신 듯 하여!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icle Symposium @AAPM2013  (2) 2013.08.06
간만에 글 적어보기. 일본?  (4) 2013.07.10
ESTRO Dose Modeling 교육 - 추천! :)  (1) 2013.03.22
블로그.. 통계  (0) 2013.02.14
2013년 2월  (0) 2013.02.03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3. 22. 07:01

ESTRO Teaching Course에 다녀왔다.

Dose Modeling and Verification for External Beam Radiotherapy.


흔히 방사선치료에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컴퓨터를 통해서 방사선량이 어떻게 환자에게 분포되는지를 가상으로 simulation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방사선의 분포를 modeling을 해서 simulation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어떤 다른 종류가 있는지, 
또 그렇게 modeling한 것을 어떻게 맞는지 점검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교육하는 것이다. 

최근 양성자를 우리 병원에 도입하면서
RayStation이라는 TPS (Treatment Planning System)를 구입하게 되었고. 
Dose modeling과 verification 을 해야하기 때문에 참석하고 배우게 되었다. 

총 5일에 걸쳐 나름 빡빡하게 진행된 교육.
강사는 돌아보니 7명이었는데, 굉장히 유익했던 교육이었다고 생각한다. 
현재까지 총 15회정도 개최가 되었고, 주로 대상은 physicist며 1300명 정도가 들었다고 한다.
아침 9시부터 저녁 5시정도까지 진행했고, 나름대로 잘 꾸며져 있어서. 하나도 빼놓지 않고 들었다.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다양한 사고도 리뷰하고.
Pencil Beam Kernel, Point Kernel, Grid based Approach까지 책에는 없는 내용들을 배웠다.
실습을 통해 좀 더 실제적으로 Dose modeling을 접근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물론 시간이 짧아서 다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 
다 좋았지만, 특히 좋았던 것은 모두 끝나고 참석했던 모든 사람들이 번호를 누를 수 있는 리모콘을 들고.
객관식 문제를 풀면서 teaching course를 마무리했던 것. 
60명이 넘는 사람들이 누른 답의 분포도 보고, 부가적인 설명도 듣는 재미난 시간으로 기억된다. 


마지막 문제풀이가 끝나고 단체사진을 찍고.
피렌체를 떠나기 전 우피치 미술관에 가서 르네상스 시대의 작품들을 보았는데.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보티첼리의 작품들이 예전과 다르게 마음에 깊이 남았다. 
괜히 거장들이라고 그러는 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
이번 우피치 미술관에서는 미술관을 대표하는 '비너스의 탄생', '봄'이 계속 마음에 남았다.
화가의 상상력. 터치. 표현. 그것을 보는 사람들의 상상력.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생각마저 드는 그런 시간이었다. 


장소는 피렌체였는데 공부를 위해서인지 5일동안 4일은 매일 비가 왔다. 하하. 
비가 오는 피렌체. 상상해보셨나 모르겠지만, 나름 우울한 색깔의 피렌체도 괜찮았다. 
비가 그친 저녁에 잠시 피렌체 골목도 걷고. 야경도 보러 미켈란젤로 광장에도 올라가서 시간을 보냈다.
아래는 내가 찍은 사진 한장. :)


다음에는 어디서 열릴지 모르지만.

의학물리를 하는 사람이면 한번 들으면 좋을만한 기본 교육코스임에 틀림없다. 

강추!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만에 글 적어보기. 일본?  (4) 2013.07.10
SABR with Particle Therapy  (0) 2013.04.03
블로그.. 통계  (0) 2013.02.14
2013년 2월  (0) 2013.02.03
Motivation.  (0) 2013.01.08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2. 14. 07:44

3년 정도 된 듯 하다. 

오늘 갑자기 정리해보고픈 생각이 들어서 방문자수를 그래프로 그려보았다.


생각보다는 이제 방문자수가 한달 평균 1800건. 하루 평균 60명정도가 되는 듯 하다.

어떻게 들어오는지 신기할 뿐! :)


그래프를 그려보니 재미난 포인트 하나.

3년동안 3월에 갑자기 방문자수가 증가한다!!!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봤더니, 신입생들이 입학하고 검색을 통해서 무언가 알아가는 것이 아닌가..

물론 2011년에는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있어서 더 큰 몫을 했다고 생각이 된다. :)


음. 올해는 목표는 일주일에 글 하나는 올리는 목표로! 

으라차차차! :)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BR with Particle Therapy  (0) 2013.04.03
ESTRO Dose Modeling 교육 - 추천! :)  (1) 2013.03.22
2013년 2월  (0) 2013.02.03
Motivation.  (0) 2013.01.08
Evolution of Radiation Technique  (1) 2012.12.03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2. 3. 05:26

1. 두번의 짧지 않은 해외출장교육이 끝이 나면서 이제 한국에서 해야할 일들을 정리해본다. 

사실 더 정확히 말하면 해야할 일들을 정리한다기보다는 안해도 되는 일들을 정리하는 것이 필요해보인다. 너무 많은 것을 하려다가. 이것저것도 안되는 상황이 될 수 있으니 말이다. 


2. 일본 SHI 공장에서의 교육과 MDACC에서의 시간은 나중에 돌이켜보아도 정말 잊을 수 없는 시간이 되리라고 장담할 수 있다. 긴 시간 자리를 비우게 해준 병원과 동료분들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3. 목표는 2월 내에 앞으로 해야할 일들을 정리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 그리고 3월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기를.


4. 휴스턴에서 찍은 사진하나. 

   해가 질 무렵. 맑은 하늘에 하나의 자국.

   내 삶에도 여러 흔적들이 남을텐데, 한번 정리하고 다시 가자!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TRO Dose Modeling 교육 - 추천! :)  (1) 2013.03.22
블로그.. 통계  (0) 2013.02.14
Motivation.  (0) 2013.01.08
Evolution of Radiation Technique  (1) 2012.12.03
Patient Statistics & Number of Particle Therapy Center in the world!  (0) 2012.11.17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3. 1. 8. 12:13

일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일을 하게 되는 이유이다.


이유가 확고하면.

힘들고. 반대들이 있어도 그 길을 갈 수 있다.

이유가 흔들리거나. 사라지면.

힘들고. 반대가 있을 때. 포기한다.


나의 Motivation이 무엇인가.

작은 Motivation이 하나 사라졌다.


다시 시작해보자.

방향도 점검하면서.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통계  (0) 2013.02.14
2013년 2월  (0) 2013.02.03
Evolution of Radiation Technique  (1) 2012.12.03
Patient Statistics & Number of Particle Therapy Center in the world!  (0) 2012.11.17
갑자기 검색해본 특허  (0) 2012.11.17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2. 12. 3. 15:33

지난 주 대한방사선수술물리학회에서 발표했던 자료.

슬라이드로 만들어보았는데 어떤지 모르겠군요.


동영상이 많아서 슬라이드로 만든 것이 조금 아쉽지만.

향후에 기회가 있으면 동영상을 만들어서 올려보도록 하죠.


더 궁금하신 분들은.

연락주세요! :)


그리고 자료를 사용하실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2월  (0) 2013.02.03
Motivation.  (0) 2013.01.08
Patient Statistics & Number of Particle Therapy Center in the world!  (0) 2012.11.17
갑자기 검색해본 특허  (0) 2012.11.17
TOPAS를 아시나요?  (1) 2012.10.22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2. 11. 17. 15:43
예전에 만들어 놓은 자료가 있었는데.
이번에 강의가 있는 관계로 데이터를 Update! 

그리고 혹시나해서 동영상으로 만들어서 Youtube에 올려봤다.
누군가는 보리라! :) 

Patient Statistics & Number of Particle Therapy Center in the world!





'MedPhy Jin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tivation.  (0) 2013.01.08
Evolution of Radiation Technique  (1) 2012.12.03
갑자기 검색해본 특허  (0) 2012.11.17
TOPAS를 아시나요?  (1) 2012.10.22
양성자 뉴스. 2012.10  (0) 2012.10.02
Posted by jinsung
MedPhy Jinsung2012. 11. 17. 13:46

보고서를 작성하다가.

갑자기 예전에 제출했던 미국특허가 생각나서 검색해봤다.


2001년에 미국에 잠시 갔었다.

나의 인생에 귀한 인연이 되어주셨던 배경태 교수님 연구실에..


그전까지 한번도 해보지 않았던 매트랩으로 영상처리를 시작했고.

1년 뒤에 한국에 돌아와야했다. 석사중간이었기때문에.

주어진 짧은 시간. 내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내 기억으로는. 기숙사. 연구실. 교회의 기억이 가득하다.

때처럼 다시 한번 몰두하고 싶다. 


보고싶다. 그립다. 

그 때 그 시절의 사람들. 연구실. 배 교수님도. ^^.


다시 힘을 내본다.






Posted by jinsung